[다다를 인터뷰] '샘물교회' 인질 구출 외교관이 기억하는 '그날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007년 있었던 '샘물교회 피랍사건'을 다룬 영화 '교섭'이 지난달 개봉하면서, 당시 사건과 실제 인물들도 재조명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영화에서 배우 황정민씨가 연기한 '교섭단장' 역할에 이목이 쏠리는데요.<br /><br />2007년 인질구출을 위해 실제로 탈레반과 마주 앉았던 외교관을 박현우 기자가 다다를 인터뷰에서 만나봤습니다.<br /><br /> "대한민국 정부의 협상대표 정재호입니다"<br /><br /> "외교부의 대사로 퇴임을 하고 현재는 다른 곳에서 일을 하고 있는 백주현 대사입니다."<br /><br />Q. 영화 교섭은 보셨나요?<br /><br />네, 봤습니다. 제 역할을 중심으로 이렇게 영화를 봤는데 교섭단장으로서 여러 가지 심리 상태라든가 교섭에 임하는 자세라든가. 판단을 하는 문제라든가 이런 데서는 싱크로율이 한 90퍼센트 이상 되는 그런 영화라고 저는 생각을 했습니다.<br /><br />Q. '샘물교회' 피랍 사건 당시 직함은?<br /><br />탈레반하고 인질 석방을 위한 교섭 단장이었죠.<br /><br />Q. 국정원 요원과 현지 통역을 맡았던 인물을 연기한 카심은?<br /><br />아주 재미있고 흥미롭게 봤습니다. 뭐 그 당시의 상황하고 똑같은 건 아니지만 통역을 구하는데 굉장히 어려움이 있었어요. 우리나라에 파슈토어(아프간어)라든가 이런 걸 할 수 있는 사람이 실제로 없기 때문에 그래서 현장에서 오랫동안 (지낸) 사람을 구해서 통역으로 썼고, 영화 속에 보면 네고시에이터(브로커)라는 사람이 나타납니다. 그 사람 중에 (탈레반과 연락을 하게 해주겠다고)사기를 치는 사람도 있어요. (국정원 직원이)접촉을 하면서 거기서 생기는 정보들을 잘 분석도 하고 잘 판단도 하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Q. 당시 '테레리스트'와의 직접 협상에 대한 국내외 반감도?<br /><br />9·11 사태부터 시작이 되잖아요, 원인은. 한 7년 정도 경과한 시점에서 미국이 탈레반을 대대적으로 토벌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. 테러리스트 단체하고 직접 협상하는 것이 한미동맹 관계나 이런 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정부 내에서도 논쟁이 있다가 (2명의 사망자가 나오며)상황이 급반전하면서 직접 협상 쪽으로 기울게 된 것 같습니다. 정부에서 대통령실에 모여서 각 부처가 협의를 해서 (탈레반과 직접 협상하기로)결정한 것이지 교섭단장이 그걸 결정하거나 하는 건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Q. 탈레반과의 협상장으로 갈 때 복면쓰고, 방탄조끼도 입고?<br /><br />복면 쓰는 것은 영화에 나오는 얘기고요, 방탄차를 타야 되는 그런 필요성도 있고 방탄조끼는 당연히 착용을 해야 되는 그런 상황이었죠.<br /><br />Q. 영화에서처럼 '동굴 협상'?<br /><br />전혀 아닙니다. 실제로는 ICRC(국제적십자위원회) 건물에 가서 협상을 했는데 그 협상에 나오는 탈레반도 안전 문제를 항상 신경 쓰더라고요 왜냐하면 이제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들이 공격을 언제든지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날은 자기네들이 못 나오겠다고 하기도 하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Q.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을 때 처음으로 건넨 말은?<br /><br />저는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. 아주 이상한 장소에서 우리가 만나게 돼서 유감스럽다.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70년대 80년대 경제 성장을 하면서 수많은 나라에 가서 프로젝트 플랜트 수출 이런 걸 했는데 내가 알기로는 한 80퍼센트가 무슬림 국가다. 그래서 지금 탈레반이 우리 국민들을 납치하고 살해까지 한 현상에 대해서 무슬림 국가들의 그 사람들이 어떻게 평가할지 굉장히 두렵지 않느냐 탈레반도 코란의 논리와 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하면 빨리 무기를 내려놓고, 무고한 우리 국민들을 석방을 하는 게 옳지 않느냐.. 그런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반박을 하지 않더라고요.<br /><br />Q. 협상금 규모는?<br /><br />저는 그것은 잘 모릅니다. 하여간 여러갈래의 그 사람들(탈레반)의 요구사항이 있었기 때문에 단순하게 돈 문제만은 아니었다는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.<br /><br />Q. 교섭 핵심 전략은?<br /><br />현상으로 나타나는 아무리 급박한 사태라도 냉정하게 분석을 해야 되고, 경험을 비추어 보면 그 과정 속에서 답이 항상 나왔었어요. 협상의 기술이라는 것도 사실은 그런 팩트와 그걸 했을 때 그것이 힘을 발휘하는 것이지, 나의 말재주에 의해서 협상이 되는 건 아니다 하는 생각을 많이 했고요. 모든 협상이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.<br /><br />- '샘물교회 피랍사건'뿐만 아니라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선박 구출을 위한 '아덴만 여명작전' 때도 현지 급파,, 2018년 리비아서 우리 국민 납치됐을 때는 '특사'로 파견됏던 백주현 전 대사.. -<br /><br />Q. 협상의 제1원칙은?<br /><br />진정성이죠. 외교관의 최고의 덕목이 정직성이다. 영어로 어니스트라고 그러는데 맨 처음엔 저도 의아했어요. 과연 그럴 수 있을까 근데 시간이 지나가서 보니까 그걸 이기는 방법이 없습니다. 그러니까 내가 잔꾀를 부려서 상대방을 나한테 유도한다는 게… 오히려 담백하고 진실에 기초한 그런 이야기도 하고 협상의 자세도 그렇게 했을 때 효과가 있지 않나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.<br /><br />Q. 끝으로<br /><br />외교라는게 결국은 국가를 위하는 일, 국민을 위하는 일 그런 일일텐데.. 사실은 외교적인 여러가지 이슈들은 국민들한테 전부 공개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가끔은 오해를 하시는 부분, 아니면 실망을 하시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그러나 국가가 위험에 처한 우리 국민을 구하는 작업을 할 때는 관련되는 부처와 사람들이 최선을 다해서 하고 있다는 그런 확신을 가지셔도 될 것으로 생각하구요, 우리 국민의 대부분이 재외국민의 입장에 갈 수 있기 때문에 우리 국민들과 국가가 힘을 합쳐서 같이 만들어 나가는 제도, 같이 운영하는 제도가 되어야 될 것으로 확신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